디지털 저탄소 전환에 따른 인력수요 구조 변화 분석 -FGI를 중심으로-

기술의 변화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미치고 산업의 변화는 직무 변화 등 고용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전환은 전통적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

연구사업보고서

표지

디지털 저탄소 전환에 따른 인력수요 구조 변화 분석 -FGI를 중심으로-

디지털 저탄소 전환에 따른 인력수요 구조 변화 분석 -FGI를 중심으로-

저자
정순기, 홍현균, 김수현, 방글, 공정승, 이혜연, 김영달
게시일
2022-06-17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565
다운로드
560
바로보기
1
키워드

목차

제1장 서 론 제2장 디지털 전환에 따른 산업·고용 생태계 변화 제3장 저탄소 전환에 따른 산업·고용 생태계 변화 제4장 산업별 기술 파급 효과와 변화 제5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기술의 변화는 산업구조의 변화를 미치고 산업의 변화는 직무 변화 등 고용구조 변화에 영향을 미친다. 디지털 전환은 전통적 생산 방식에서 벗어나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경제구조로 이끌 것으로 기대된다. 저탄소 전환은 화석연료의 사용에 기반한 경제구조를 신재생 에너지 등 에너지 전환과 생산품의 변화로 산업·고용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전환/저탄소 전환 관련 기술이 산업별 고용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기술 생태계를 분석하고 직무 전환 등 기술 변화로 인해 변화가 예상되는 고용 구조에 변화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도출을 목표로 한다. 20개 산업 100명 이상의 전문가가 참여한 FGI를 통해 디지털 전환, 저탄소 전환 관련 기술 확산에 따른 고용변동요인 관련 기술, 산업 및 고용의 상관관계를 정성적으로 분석한다. 저출산·고령화 등 인구구조의 변화에 대응하여 빠른 기술 변화 속도에 대응해서 지속 가능한 생산성을 유지하고 글로벌 규제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경쟁력 우위를 점하기 위해서는 데이터, AI 등을 활용하여 새로운 상품 및 서비스를 만들어 내고 글로벌 경쟁 환경 속에서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