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

본 연구는 지역-산업 차원의 고용위기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로서 기획되었다. 금년도 연구는 ‘빅데이터와 고용행정DB를 이용한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

연구사업보고서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

저자
김수진
게시일
2022-06-30
주제대상
일자리사업,공통
조회수
415
다운로드
504
바로보기
7
키워드

목차

〚 차 례 〛 제1장 서론······························································································· 1 제2장 고용위기지역 지정기준 모니터링·················································· 11 제3장 고용위기 모니터링 보조지표: 제조업············································ 39 제4장 고용위기 모니터링 보조지표: 비제조업········································· 78 제5장 고용위기 모니터링 보조지표: 노동시장······································· 166 제6장 고용위기 현장 모니터링······························································ 247 제7장 결론···························································································· 268 참고 문헌····························································································· 274

요약

본 연구는 지역-산업 차원의 고용위기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로서 기획되었다. 금년도 연구는 ‘빅데이터와 고용행정DB를 이용한 지역산업 고용위기 모니터링 지표체계 연구(2020)’의 후속 연구이다. 1차 연도 연구에서는 경기 후행적인 특성을 지닌 고용지표의 변동을 식별할 수 있는 이른바 ‘고용선행지표’를 발굴하기 위한 목적에서 진행되었다. 그에 비해 2차 연도 연구는 고용위기 대응 지정제도 지정기준에 따른 모니터링 결과와 이를 보완할 수 있는 모니터링 보조지표를 제안하고, 정량 분석에는 반영되지 못하는 현장 모니터링 의견을 종합적으로 수록하고자 하였다. 이런 연구결과를 통해 현행 고용위기 대응 지정제도 지정기준을 보완하고, 종합적인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