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 돌봄 노동시장 현황과 전망

본 과제는 노인돌봄서비스 산업 및 노동시장 구조와 변화를 살펴보고 노인돌봄 노동시장을 전망함으로써 향후 원활한 노인돌봄 인력 수급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

연구사업보고서

노인 표지

노인 돌봄 노동시장 현황과 전망

노인 돌봄 노동시장 현황과 전망

저자
홍현균, 공정승
게시일
2022-07-14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1250
다운로드
880
바로보기
9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돌봄 서비스의 이론적 논의와 노인 돌봄 서비스 정책 현황 제3장 노인 돌봄 서비스 산업과 노동시장 현황 제4장 노인 돌봄 서비스 공급 및 이용 현황과 OECD 장기 요양 서비스 동향 제5장 노인 돌봄 노동시장 전망 제6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부록 국민보건계정의 공급자별 분류

요약

본 과제는 노인돌봄서비스 산업 및 노동시장 구조와 변화를 살펴보고 노인돌봄 노동시장을 전망함으로써 향후 원활한 노인돌봄 인력 수급 정책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급속한 고령화로 노령 영역에 대한 사회복지 및 장기요양서비스 확대는 노인돌봄서비스업의 성장을 견인하고 노인돌봄 노동시장 규모를 크게 확대시켰다. 진입장벽이 낮고 유연한 근로형태의 노인돌봄 노동시장의 양적인 팽창은 여성 고령층을 중심으로 급증하였고 향후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경력개발의 부재와 열악한 근로환경은 고용시장 참여자의 잦은 이·퇴직으로 이어져 노인돌봄 노동시장의 저숙련·저임금 현상을 고착화시키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기존 노인돌봄 근로자의 이탈 방지와 신규 인력 유치를 위해 경력개발 및 임금 상승과 같은 일자리의 질 제고와 교육훈련 기회 부여로 직업 유지율을 높일 필요가 있다. 또한 인구감소 시대에 직면할 노인돌봄 공급제약의 충격을 완화하고 노인돌봄 서비스 생산성 제고를 위해 ICT 기술을 결합한 노인돌봄 서비스 제공을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지속가능한 노인돌봄서비스 체계 유지를 위해 건강한 고령화(healthy ageing) 전략을 통해 사전적 혹은 예방적 차원에서 돌봄의 필요를 경감시키면서 동시에 재정건전성을 도모해야 할 것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