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경력개발 역량지표 개발 연구(I)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경력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애경력개발 엵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인 경제·사회적 변…

연구사업보고서

생애경력개발 역량지표 개발 연구(1) 썸네일

생애경력개발 역량지표 개발 연구(I)

생애경력개발 역량지표 개발 연구(I)

저자
이효남, 서현주, 정시원, 조아름, 박은규
게시일
2022-12-30
주제대상
직업
조회수
637
다운로드
827
바로보기
13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제2절 연구의 내용 제3절 연구의 방법 [제2장] 이론적 배경 제1절 생애경력개발 기본체계 제2절 생애 진로 및 경력개발 이론 제3절 경력개발 역량 관련 개념 및 구성요소 [제3장] 해외 경력개발 역량지표 사례 제1절 호주 경력개발 역량지표 사례 제2절 미국 경력개발 역량지표 사례 제3절 해외 Blueprint 프레임워크 비교 및 정책활용 사례 [제4장] 생애경력개발 역량과업 도출을 위한 면접조사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조사결과 [제5장] 역량지표 모형 수립을 위한 델파이 조사 제1절 조사개요 제2절 조사결과 [제6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요약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성인들의 경력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탐색하고, 이를 기반으로 생애경력개발 엵량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최근 전 세계적인 경제·사회적 변화와 함께 디지털 뉴딜 등 노동시장에서도 많은 변화가 발생ㅎ라고 있다. 이러한 노동시장 변화와 함께 고령화 등으로 인한 사회변화로 인해 전 생애 경력개발이 강조되고 있으며 특히 성인기 이후 생애단계에서의 개인 주도적인 경력개발로의 변화가 가속화되고 있다. 전 생에 경력개발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경력개발 시스템 및 인프라, 교육 체계 등이 개인의 경력개발 역량을 높이는 방향으로 수립되어야 하며, 이러한 시스템 및 제반 제도 구축을 위해서는 경력개발 영역과 지표를 도출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