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사업보고서
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보건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보건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 저자
- 김중진, 최영순, 김형래, 이혜나
- 게시일
- 2023-05-19
- 주제대상
- 직업,공통
- 조회수
- 2586
- 다운로드
- 1014
- 바로보기
- 12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신직업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
제3장 보건복지 분야 범위 선정 및 동향분석
제4장 보건복지 분야 신직업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2022 후보 신직업 정보(안)
[부록 2] 후보 신직업 타당성 검토 설문지
[부록 3] 후보 신직업 도출 배경 및 근거
[부록 4] 워크넷 구인공고 단어 직업 빈도 표
요약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와 기술진보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신직업을 선제적으로 발굴 육성지원하기 위한 신직업 사업이 2013년부터 지속되고 있다.
2022년은 보건복지 분야에서 신직업을 발굴하는 1차 연도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의견수렴 등을 거쳐 총 46개의 후보 직업을 발굴하였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보건의료 분야에서 모바일헬스케어코디네이터, 환자안전전담인력, 화장품안전평가사 등 27개, 복지분야에서는 케어코디네이터, 자립지원전담인력, 오디오작가 등 13개, 그리고 금융, 환경 등 기타 분야에서도 전기차배터리사용후평가사, 채무조정교섭전문가 6개 직업을 도출하였다.
한편 1차 연도 연구에서는 46개 직업 중 29개 직업에 대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직업정보 초안을 작성하고 설문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문회의와 설문을 진행하여 정부 육성지원 방안도 도출하였다.
2023년에는 의료인공지능개발자 등 21개 직업에 대해 중점 조사를 수행하고 최종 보건복지 분야 신직업을 도출하여 직업정보를 개발하고 정부육성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건
| 번호 | 구분 | 보고서명 | 게시일 | 저자 | 다운로드수 | 첨부파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