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보건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와 기술진보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신직업을 선제적으로 발굴 육성지원하기 위한 신직업 사업이 2013년부터 지속되고 있다. 2022년은 보건복지 분…

연구사업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_표지

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보건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2022 국내외 직업 비교 분석을 통한 신직업 연구(보건복지 분야를 중심으로)

저자
김중진, 최영순, 김형래, 이혜나
게시일
2023-05-19
주제대상
직업,공통
조회수
2586
다운로드
1014
바로보기
12
키워드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신직업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 제3장 보건복지 분야 범위 선정 및 동향분석 제4장 보건복지 분야 신직업 제5장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부록 1] 2022 후보 신직업 정보(안) [부록 2] 후보 신직업 타당성 검토 설문지 [부록 3] 후보 신직업 도출 배경 및 근거 [부록 4] 워크넷 구인공고 단어 직업 빈도 표

요약

사회경제적 구조 변화와 기술진보에 따라 새롭게 나타나는 신직업을 선제적으로 발굴 육성지원하기 위한 신직업 사업이 2013년부터 지속되고 있다. 2022년은 보건복지 분야에서 신직업을 발굴하는 1차 연도로, 문헌연구, 현장조사 및 의견수렴 등을 거쳐 총 46개의 후보 직업을 발굴하였다. 세부 분야별로 보면 보건의료 분야에서 모바일헬스케어코디네이터, 환자안전전담인력, 화장품안전평가사 등 27개, 복지분야에서는 케어코디네이터, 자립지원전담인력, 오디오작가 등 13개, 그리고 금융, 환경 등 기타 분야에서도 전기차배터리사용후평가사, 채무조정교섭전문가 6개 직업을 도출하였다. 한편 1차 연도 연구에서는 46개 직업 중 29개 직업에 대해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우선 직업정보 초안을 작성하고 설문을 구안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자문회의와 설문을 진행하여 정부 육성지원 방안도 도출하였다. 2023년에는 의료인공지능개발자 등 21개 직업에 대해 중점 조사를 수행하고 최종 보건복지 분야 신직업을 도출하여 직업정보를 개발하고 정부육성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