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기술 혁신 및 저탄소 전환이 장기 인력수요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혁신 및 저탄소 전환을 통한 기술 변화는 산업구조와 고용구조의 변화를 야기한다. 기술변화의 동학을 분석하는 일은 매우 어렵지만 중요하다. 기술변화는 경기…

연구사업보고서

디지털 표지

디지털 기술 혁신 및 저탄소 전환이 장기 인력수요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디지털 기술 혁신 및 저탄소 전환이 장기 인력수요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저자
정순기, 이시균, 박진희, 김수현, 공정승, 김영달, 정재현, 홍현균, 김새봄, 방글, 이혜연
게시일
2023-07-19
주제대상
인력수급전망,공통
조회수
1090
다운로드
459
바로보기
3
키워드

목차

1부. 디지털 기술 혁신이 장기 인력수요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제1장 서론 제2장 디지털 기술 혁신 변화 속도와 영향 측정 방법론 탐색 제3장 디지털 기술 발전에 따른 노동력 대체 가능성 분석 제4장 산업별 디지털 기술 혁신에 따른 효과 정성적 분석 -FGI를 중심으로- 제5장 디지털 기술 혁신이 장기 인력수요 구조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제6장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2부. 저탄소 전환이 장기 인력 수요에 미치는 영향: 정성적 분석을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2장 저탄소 전환과 산업 및 고용 구조의 변화 제3장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요약

디지털 기술혁신 및 저탄소 전환을 통한 기술 변화는 산업구조와 고용구조의 변화를 야기한다. 기술변화의 동학을 분석하는 일은 매우 어렵지만 중요하다. 기술변화는 경기 변동 등 최종 수요의 외생적 변화와 본원적 투입요소(노동, 자본)의 변화뿐 아니라 기업 차원의 기술 개발과 확산되는 과정에서 내생적 동학 요인에 의해 관찰된다.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혁신에 따른 생산성 변화에 의한 산업구조 변화에 기인한 산업 내/ 산업 간 연관관계 분석을 위해 산업연관분석을 바탕으로 한 분석결과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산업 간 내생적으로 작용하는 기술 변화 요인과 영향을 정성적(FGI, 델파이)으로 수행된 분석결과를 통해 보완하여 궁극적으로 고용구조변화로 인한 장기인력수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다. 저탄소 전환은 아직 관찰되지 않는 현상임을 고려하여 저탄소 경제로의 전환에 따른 산업별 영향을 정성적으로 살펴보고 저탄소 전환에 따른 산업 및 고용구조가 얼마나 빠르게, 어떻게 변화할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