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슈
[격월간] 2012년 09월호 고용이슈(제5권 제5호)
[격월간] 2012년 09월호 고용이슈(제5권 제5호)
- 저자
- 한국고용정보원
- 게시일
- 2012-10-01
- 조회수
- 12935
- 다운로드
- 860
- 바로보기
- 90
목차
-기획특집
베이비부머의 취업 및 임금 구조와 시사점
제조업 생산직 베이비부머의 퇴직 후 경제활동 계획
-이슈분석
한국사회에서 중장년 남자가 쉰다는 것은?
고령자 취업지원프로그램의 현황 및 과제
-직업정보
돌봄서비스 분야의 직업 및 자격체계
-행정통계포커스
실업급여의 임금대체율 추이
-고용서비스동향
요약
이 글에서는 우리 노동시장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1955~1963년생 베이비부머들의 본격적인 정년퇴직 가능연령 시기가 도래하는 것과 관련하여 이들 베이비부머의 취업구조와 임금소득분포 추이를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정년퇴직에 따른 노동시장의 영향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베이비부머의 취업구조 분석결과, 일정 산업 및 일자리에 편중되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이들의 정년퇴직으로 인한 양적, 질적 노동력 부족현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베이비부머의 임금소득분포 분석결과 취업상태에 있는 경우 고소득 분포의 비중이 높았으나 정년퇴직이 시작된 2010년을 기점으로 저임금근로자의 비중이 증가하기 시작하고 각종 연금의 소득대체율이 낮은 수준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베이비부머의 퇴직에 따른 인력부족과 이들의 빈곤화를 예방하기 위한 정책 혹은 제도 구축이 요구된다. 베이비부머 세대 내에서도 여성, 저학력, 비정규 등 취약계층의 1차적인 사회안전망이 될 수 있는 실업급여, 국민연금 등 사회보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