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슈
[격월간] 2012년 05월호 고용이슈(제5권 제3호)
[격월간] 2012년 05월호 고용이슈(제5권 제3호)
- 저자
- 한국고용정보원
- 게시일
- 2012-06-05
- 조회수
- 10415
- 다운로드
- 1197
- 바로보기
- 331
목차
-이슈분석
2020 노동력 전망과 시사점
청년 고용구조의 변화 분석
대졸 청년층 자업자의 현황과 자업 유지의 특성 분석
30대 후반의 고용현황
효율성 개념에 의한 고용센터 평가방안
-직업정보
직업별 재직자의 직업만족도 분석
-행정통계포커스
고용보험 산전후휴가 및 육아휴직급여 지원현황
-고용서비스동향
요약
노동력의 성장과 변화는 경제성장의 결정인자로 작용한다. 이 글에서는 낮아진 인구성장률, 베이비붐 세대의 고령화, 늘어난 기대수명 등 인구사회학적 구조변화가 빚어내는 노동력을 전망하였다. 향후 10년간 우리나라 노동력이 보여주는 특징은 성장 둔화, 고령화와 연령별 구성변화, 고학력화 등이다. 고학력 비중 증대로 노동력의 질적 수준이 상승하므로 노동력의 양적 성장둔화가 곧 생산능력 약화로 이어지지는 않지만, 경제성장 동력을 지속시키기 위한 대비책으로 전망결과에 의거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노동력 성장둔화에 대비하기 위해 고령이 되어도 계속채용이 가능하도록 임금 및 근로조건개발, 직업안정, 근무여건 개선을 통해 은퇴를 사전에 방지하는 조치가 필요하다. 노동시장으로의 유입인구 및 지속인구의 증가에 대비하여 진로직업지도를 강화하고 구직과정에서 고용서비스, 이직 전직서비스를 증대해야 한다. 노동력이 부담하는 경제적 부양비는 줄어들어 여유가 생길 전망이므로 노동시장에서 유출되는 베이비부머가 안정된 노후를 보낼 수 있도록 사회복지체계를 강화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