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월간] 11월호 고용이슈 : 2010년 제3권 제6호

○ 2000년대 들어 청년층 실업률은 그다지 큰 변화가 없음에도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데에는 청년인구의 감소와 경제활동참가율의 하락이 큰 요인으로 작용 ○ 특히…

고용이슈

0700_0

[격월간] 11월호 고용이슈 : 2010년 제3권 제6호

[격월간] 11월호 고용이슈 : 2010년 제3권 제6호

저자
한국고용정보원
게시일
2010-11-10
조회수
9030
다운로드
570
바로보기
81

목차

-이슈 집중분석 청년층 노동시장 실태분석 대졸자 취업과정 분석 기업에서 요구하는 청년층 구직역량 OECD 청년층 고용정책 동향 -동향분석 고용동향 고용보험 동향 구인,구직 동향 고용보험 피보험자 고용변동 현황

요약

○ 2000년대 들어 청년층 실업률은 그다지 큰 변화가 없음에도 취업자가 지속적으로 감소한 데에는 청년인구의 감소와 경제활동참가율의 하락이 큰 요인으로 작용 ○ 특히 금년들어 노동시장 전반적으로 강한 고용회복세를 보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년층(15~29세) 취업자가 감소하는 주된 이유는 청년층 인구 규모의 감소 때문 ○ 청년층 고용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구직단념자와 취업준비생처럼 구직활동 결과에 실망하여 일자리 찾기를 포기하는 이들을 일자리로 끌어들일 수 있는 방안이 시급 ○ 실질적 실업상태까지 포괄할 경우, 고졸 이하와 전문대졸 이상 학력자 모두 동일하게 노동시장에서 구직에 어려움을 겪는 정도는 같음 ○ 청년층 취업자는 산업별로 교육서비스업, 보건 및 사회복지업,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취업자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으며, 직종별로 상대적으로 높은 직능수준을 요구하는 전문직, 사무직 종사비율이 높음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