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이슈
[격월간] '10월호 고용이슈', 2009년 제2권 제4호
[격월간] '10월호 고용이슈', 2009년 제2권 제4호
- 저자
- 한국고용정보원
- 게시일
- 2009-10-30
- 조회수
- 7589
- 다운로드
- 669
- 바로보기
- 67
목차
1.이슈 집중분석
'나만의 고용정보'를 원스톱 서비스.클릭!
-선진국에서 배우는 '찾아가는 맞춤형 통합 고용정보'
기업이 원하는 '바로 그 인재'가 여기에
-채용대행서비스, 이젠 정밀한 효과측정이 생명이다
소프트매칭? 적당한 일자리가 이렇게 많았네
-취업알선의 매칭효과 극대화하는 장치를 활용하라
2.고용동향
고용동향 종합
고용보험 동향
구인,구직 동향
고용보험 피보험자 고용변동 분석
고용위기 극복을 위한 정부의 일자리 대책
3.통계표
고용보험 동향
구인,구직 동향
요약
급변하는 사회적・경제적 환경 변화에 적합한 고용지원 서비스 필요성 대두
2008년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미국발 경제위기로 인하여 청년실업 급증, 노동력의 고학력화, 고령층․여성층 고용난 등 다양한 고용변동이 발생하고 있음
최근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는 청년실업은 고용률 41.3%, 실업률 7.6%로 전체 취업자 대비, 낮은 고용률과 높은 실업률을 나타냄([그림 1] 참조)
서비스 대상자 상황에 적합하고 개개인이 체감할 수 있는 고용서비스 강화 요구
국민들은 국가에서 지원하는 고용서비스(취업, 실업, 훈련)를 어디 가서 어떤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 알기 어렵고, 서비스마다 따로 신청하는 불편
개인별 고용상황(재직, 실직, 장기상실실업 등)과 이를 지원하는 고용서비스간 서비스연계가 부족할 뿐 아니라 공공기관별로 제공하는 정보가 여러 전산망에 흩어져 있으므로 국가가 제공하는 고용서비스 활용도가 높지 않음
전 국민에게 신속하고 질 높은 고용지원 서비스(일자리정보, 고용보험정보, 직업훈련정보) 제공을 위해 체계적인 고용서비스 전달체계 재수립이 요구됨
실직자, 재직자, 장기실직자 등 이용자별 이력정보와 시의성 있는 고용지원정보가 전산망별로 개별 관리되므로 고용서비스의 연속성 및 일관성이 부족
개인별(기업별)로 영유아기(생성)부터 노후(소멸)까지의 고용서비스 이용현황을 분석할 수 있는 국가 차원에서의 통합적인 정책수립 지원정보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