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고용이슈2008-30호-] 행정DB를 이용한 기혼여성의 희망직종별 취업현황과 규모 간 이동

이 글은 행정DB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의 취업결정요인과 희망직종별 취업 현황을 살펴보고, 35세 이하에 결혼·출산등 가사사정으로 직장을 그만 둔 기혼여성에 대해 사업체…

고용이슈

0590_0

[e-고용이슈2008-30호-] 행정DB를 이용한 기혼여성의 희망직종별 취업현황과 규모 간 이동

[e-고용이슈2008-30호-] 행정DB를 이용한 기혼여성의 희망직종별 취업현황과 규모 간 이동

저자
김두순, 이주현
게시일
2009-01-07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19598
다운로드
841
바로보기
166
키워드

목차

Ⅰ. 들어가며 Ⅱ. 공공구직서비스를 통한 기혼여성의 취업현황 Ⅲ. 기혼여성의 희망직종별 취업현황 Ⅳ. 기혼여성의 규모 간 노동이동 Ⅴ. 요약 및 시사점

요약

이 글은 행정DB를 이용하여 기혼여성의 취업결정요인과 희망직종별 취업 현황을 살펴보고, 35세 이하에 결혼·출산등 가사사정으로 직장을 그만 둔 기혼여성에 대해 사업체 규모 간 이동 실태를 분석하였다. 기혼여성에 대한 취업결정요인 분석에 따르면, 학력요인은 단기취업인 경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기취업에는 학력 간 취업효과 차이가 존재하였다. 희망직종을 소분류로 세분화한 결과 기혼여성이 워크넷을 통해 취업을 희망하는 직종과 그에 따른 취업성공여부는 특정 직종군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희망직종을 세분화함에 따라 특정 희망직종별 취업여부가 희망임금에 무관하게 나타나는 직종이 존재하고 있다. 퇴직사유별 규모의 하향이동 비율의 차이는 존재하지 않으나, 가사사정으로 이직한 기혼여성의 규모의 상향이동 비율이 비교적 낮은 특징을 보인다. 직업탐색 여력이 있는 기혼여성에게 적합한 일자리로 유인할 수 있도록 훈련체계를 강화하고, 고학력·고숙련의 경력단절여성을 위한 특화된 취업알선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기혼여성에게 취업이 유리한 직종을 선별적으로 제공하되, 향후 다양한 직종으로 취업할 수 있도록 이전 직업경험을 감안한 경력개발과 구직 및 취업알선서비스와의 연계강화가 필요하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