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고용이슈2008-12호-]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과 그 시사점:2008년 1-4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이 글은 2008년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사용하여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청년층 취업자의 감소추세가 지속적인 현상인가, 어떤 …

고용이슈

0380_0

[e-고용이슈2008-12호-]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과 그 시사점:2008년 1-4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e-고용이슈2008-12호-]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과 그 시사점:2008년 1-4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중심으로

저자
권혜자
게시일
2008-06-25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17450
다운로드
989
바로보기
129
키워드

목차

I. 논의 배경 II. 청년층의 고용률 감소추세 지속 Ⅲ. 청년층의 고용상황 악화 Ⅳ. 청년층 취업준비생의 증가추세 지속 Ⅴ. 정책적 시사점

요약

이 글은 2008년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결과를 사용하여 최근 청년층 고용동향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최근 청년층 취업자의 감소추세가 지속적인 현상인가, 어떤 부문에서 청년층 취업자가 감소했는가, 그리고 취업자의 감소경향이 청년층에 고유한 현상인가, 아니면 중장년층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인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중장년층 취업자는 전년 동기 대비 271천명 증가했는데 비해, 청년층 취업자는 80천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장년층 취업자는 상용고 중심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비해서, 청년층 취업자는 종사상 지위를 막론하고 감소하고 있다. 청년층 취업자의 감소추세는 인구 고령화 추세를 감안할 때 지속적 경향이지만, 이러한 경향이 청년 고용률의 악화, 청년층 취업준비생의 증가, 청년고용구조의 악화를 동반하고 있다는 점에서 청년고용 대책에 집중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2008년 4월 현재로서는 최근 청년층의 고용감소가 중장년층의 고용감소와 동시에 진행된다는 근거는 발견되지 않았으나, 청년층의 고용감소가 지속된다면 장년층에서 일자리가 늘더라도 이를 상쇄함으로써 전체 고용률을 정체시키는 원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 점에서 청년 고용대책은 정부의 일자리 창출정책의 성패를 가늠하는 잣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