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5호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5호
- 게시일
- 2025-07-31
- 조회수
- 337
- 다운로드
- 202
- 바로보기
- 188
요약
01. [심층분석] 최근 제조업 고용 감소와 주도 산업
■ 전체 취업자가 증가하는 동안 제조업 취업자 수는 감소하였으며, 제조업은 생산 증감과 고용 증감의 관계가 약한 특성
■ 고용 변동의 요인을 분해하면 구조적 요인이 지속적으로 고용 감소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경기적 요인이 변동하며 증감을 초래
■ 2025년 상반기 제조업 피보험자 수는 금속가공제품, 섬유제품, 고무·플라스틱, 비금속광물, 기타 기계 및 장비 제조업에서 감소폭이 컸음
■ 제조업의 산업분류별로 고용변동 요인을 분해하면 고용 규모가 큰 주요 제조업의 구조적 고용 위축, 일부 제조업 산업군의 상시 구조조정과 경기 악화가 고용 감소를 주도
■ 산업 전환 국면에 있는 업종의 생산량 감소와 주요 제조업의 구조적 요인이 제조업 고용을 위축
02. 2025년 상반기 고용동향
■ 2025년 상반기 고용지표는 2분기 들어 역대 가장 높은 경제활동참가율(65.4%)과 고용률(63.5%)을 기록하는 등 지표상 긍정적인 흐름이 지속
■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는 ‘쉬었음’과 ‘취업준비’에서 높았으며, 1, 2분기 모두 증가
■ 취업자가 감소한 산업은 농림어업, 제조업, 건설업, 사업시설 관리, 사업 지원 및 임대 서비스업으로 특히 건설업과 제조업의 취업자 감소폭이 크게 나타남
■ 취업자는 남성과 여성 모두 30대, 60대 이상에서 전년 동기 대비 증가
■ 건설업 부진으로 일용근로자의 감소세 지속,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는 지난해 4분기 이후 감소세 지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