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6호

01. [심층분석] 2025년 상반기 고용동향 특징과 2025년 취업자 수정전망■ 2025년 상반기 인구는 30대 초반 및 고령층에서 증가,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는 감소하는 가운데…

고용동향브리프

[썸네일] 2025 고용동향브리프 6호_표지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6호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6호

게시일
2025-09-01
조회수
386
다운로드
141
바로보기
209

목차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2025년 상반기 고용동향 특징과 2025년 취업자 수정전망



02. 통계포커스


■ 30대 여성 고용률 현황

요약

01. [심층분석] 2025년 상반기 고용동향 특징과 2025년 취업자 수정전망


■ 2025년 상반기 인구는 30대 초반 및 고령층에서 증가, 경제활동참가율은 20대는 감소하는 가운데 30~34세와 65세 이상을 중심으로 증가

■ 2024년 이후 남성 취업자는 감소 또는 정체하는 반면 여성 취업자는 증가하고 있으며, 65세 이상 고령층에서 취업자가 크게 증가

■ 2025년 상반기 취업자의 근로시간별 비중을 보면 주 36시간 이상 취업자 규모와 비중이 증가하는 반면 단시간(15~35시간) 취업자 비중이 감소

■ (거시적 측면) 2025년 하반기는 국내 불확실성이 해소되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으로 소비지출과 투자지출이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15% 대미 상호관세 등 국제무역 질서재편에 따라 수출수요와 함께 제조업 업황은 불확실한 상황

■ (주요 산업별 전망)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Q), 정보통신업(J), 전문, 과학 및 기술서비스업(M), 금융 및 보험업(K)을 중심으로 취업자가 증가하지만, 전통적으로 취업자 비중이 높았던 제조업(C), 건설업(F), 도매 및 소매업(G)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



02. 30대 여성 고용률 현황


■ 30대 여성 주도로 취업자가 증가하면서 30대 여성 고용률은 꾸준히 증가

■ 30대 여성 고용률의 증가는 미혼 인구 증가의 영향이 크나, 30대 후반 기혼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지속되면서 나타난 결과로 해석됨

■ 비혼, 만혼으로 30대 유배우 가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왔으며, 2024년은 30대 후반을 중심으로 가장 큰 감소폭(-10만 7천 가구)을 기록

■ 2024년 맞벌이 가구 비중은 전년보다 감소하였으나, 30대 후반 기혼 여성 취업자가 증가하면서 30대와 40대 가구의 맞벌이 비중은 전년보다 증가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