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7호

01. [심층분석] 상주 외국인 취업자 추이와 특성■ 2024년 5월 기준 국내 만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은 1,561천 명으로, 남성(약 58%), 만 15~29세(29.7%), 고졸(43.0%), 아…

고용동향브리프

[썸네일] 2025 고용동향브리프 7호_표지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7호

고용동향브리프 2025년 7호

게시일
2025-10-01
조회수
509
다운로드
235
바로보기
229

목차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상주 외국인 취업자 추이와 특성



02.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청년 패널(Youth Panel 2021)을 통해 살펴본 청년의 하는 일 유지 현황



03. 통계포커스


■ 청년층의 직장체험 경험과 취업

요약

01. [심층분석] 상주 외국인 취업자 추이와 특성


■ 2024년 5월 기준 국내 만 15세 이상 상주 외국인은 1,561천 명으로, 남성(약 58%), 만 15~29세(29.7%), 고졸(43.0%), 아시아 국적자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

■ 비전문취업 체류자격의 상주 외국인은 2024년 303천 명으로 증가, 전문인력 체류자격의 상주 외국인은 2017~2023년 동안 50천 명 미만에서 정체하다가 2024년 66천 명으로 증가

■ 2024년 5월 기준 국내 상주 외국인 취업자는 전년 동월 대비 87천 명 증가한 1,010천 명을 기록하였으며, 2017~2024년 상주 외국인 취업자 수 추이는 상주 외국인의 연령대와 체류자격에 따라 차이

■ 상주 외국인 취업자의 40% 이상은 광업‧제조업 종사자이며 직업 면에서는 단순노무종사자와 장치, 기계조작 및 조립종사자가 절반 이상을 차지

■ 관리자‧전문가관련 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등 다른 직업별 상주 외국인 취업자 비중은 2017~2024년의 기간 동안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음



02. [심층분석] 청년 패널(Youth Panel 2021)을 통해 살펴본 청년의 하는 일 유지 현황


■ 청년 패널(YP2021)로 청년층의 고용 현황을 살펴보면 청년의 65.6%가 일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보다 1차 조사 당시의 일자리 유지하는 비중이 높음

■ 학력이 높을수록 1차 조사 당시 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높으며 전공계열 중 의/학계열(86.6%)과 교육계열(82.0%)에서 일자리 유지자 비중이 높게 나타남

■ 직업별로 전체 청년 응답자에서는 전문가 및 관련 종사자(76.6%)에서 일자리를 유지하는 비중이 높은 반면 단순 노무 종사자(38.7%)에서 가장 낮음

■ 일자리 유지가 취약한 청년 집단은 생애에서 경력 형성에 어려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만큼 맞춤형 고용 정책 필요

■ 고용 안정성 강화, 직업훈련 및 스킬업 프로그램 제공 등을 통해 고용 안정성 강화를 위한 노력 필요



03. 청년층의 직장체험 경험과 취업


■ 2025년 청년층에서 직장체험을 경험한 여성은 전년대비 1.1%p 증가한 47.1%, 남성은 전년대비 1.9%p 감소한 39.4%로 나타남

■ 직장체험 형태를 살펴보면 남성은 시간제 취업 74.6%, 전일제 취업 12.5% 순이었으며, 여성은 시간제 취업 75.3%, 학교의 현장실습 9.2% 순

■ 2025년 직장체험을 경험한 청년층이 노동시장에 진입했던 비중은 남성 56.2%, 여성 59.3%로 경험하지 않은 청년층(남성 35.5%, 여성 35.8%)에 비해 높았음

■ 직장체험을 경험한 청년층은 절반 이상 첫 일자리에서 정규직으로 취업하였으며, 아르바이트 등 시간제보다 인턴, 현장실습, 정부지원 프로그램에서 정규직 취업 비중이 더 높게 나타남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