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0년 6호
고용동향브리프 2020년 6호
- 게시일
- 2020-09-10
- 조회수
- 1762
- 다운로드
- 1181
- 바로보기
- 24
요약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본 연구에서는 한국고용정보원의 청년패널조사 직업력(2007~2018년) 자료를 이용하여 청년층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일자리 이동 분포의 특징들을 살펴보고, 일자리 이동을 통해 노동시장에 안착하는 과정에서 임금, 고용형태, 전공미스매치 등이 어떠한 양상으로 변화하여 나타나는지 분석하였음
- 전체 표본(3,419명) 중 24.1%는 이직경험 없이 첫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고 있으며, 75.9%은 최소 1회 이상 일자리를 이동한 것으로 나타남
- 첫 일자리 진입단계에서 임시/일용직, 소기업 등 불안정한 고용상태에 직면한 청년층은 노동시장에 안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이직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보임
- 이직경험자들의 각 일자리별 임금수준은 마지막 안착한 일자리를 기준으로 보면 직전에 경험한 일자리의 임금수준에 비해 큰 폭으로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이직경험자들의 일자리 이동에 따른 종사상 지위, 전공미스매치 상태를 분석한 결과, 첫 일자리보다 마지막 일자리에서의 상용직 및 전공일치 비율이 크게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첫 일자리 진입과정에서 발생되는 미스매치 현상을 줄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안정적인 중소기업을 구직자와 연결할 수 있는 체계적이고 세밀한 고용서비스의 제공이 요구됨
- 청년층이 이직을 선택하더라도 잦은 이직과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청년층이 희망하는 기업 정보 제공 등(예: 청년친화 강소기업) 청년층의 이직 결정과정에 도움이 될 정보를 지원할 필요가 있음
02. 통계포커스
■ 최근 워크넷 구인구직을 통해 코로나19 확산-진정 국면에서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함
- 감소세에 있던 신규구인과 증가세를 나타낸 신규구직의 최근 추이를 살펴보며, 고용형태 및 산업(구인), 인적특성별(구직) 현황을 확인
■ 2020년 2월 14천 명 증가 이후 코로나19 확산세가 정점에 이르던 3~5월경에는 평균 53천 명 감소
- 이후 6월 증가(+2.5%)로 전환된 이후 7월에 전년 동월 대비 +2.8% 증가한 183천 명을 기록하며 회복세 유지
- 6~7월 나타난 구인구직 회복세에는 기간의 정함이 있는 고용형태가 주된 증가 요인이었음을 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