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1년 5호
고용동향브리프 2021년 5호
- 게시일
- 2021-07-15
- 조회수
- 1181
- 다운로드
- 813
- 바로보기
- 9
요약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2021년 3월부터 일자리 주요 지표들이 개선되어 코로나19로 인한 충격을 회복하는 시기에 진입했음
■ 최근 취업자 증감의 전반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전년 대비 취업자 증가분 중 여성, 60대 이상, 20대의 비율이 높았으며, 특히 60대 이상 여성 및 남성과 20대 여성의 취업자 증가가 두드러졌음
■ 주요 인적 특성별(60대 이상 전체, 20대 여성)의 최근 취업자 수 변화를 산업별로 확인
- 60대 여성의 경우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에서, 60대 이상 남성은 건설업에서 크게 증가
- 20대 여성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한 산업은 정보통신업,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으로 나타남
- 최근 20대 여성의 산업별 취업자 증감은 다른 연령대보다 기존 산업 종사자 성비에서 자유로운 것으로 보임
■ 청년 여성 취업자 수가 크게 증가한 정보통신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의 전반적인 성장 추이를 고용보험DB를 활용하여 확인
- 정보통신업과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의 경우 사업장 수 및 피보험자 수가 증가하는 추세
- 하위 산업 중에서는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사업장 및 피보험자 수가 가장 크게 증가
■ 20대 청년 여성 피보험자 또한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에서 가장 크게 증가
- 특히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은 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이후 피보험자 증가분 중 20대의 비율이 점차 높아짐
- 더불어 20대 피보험자 증가분 중 여성 비율이 남성보다 높은 것으로 확인되며, 다른 연령대의 성비와 차이가 있음
■ 특히 코로나19로 확산 초기 영향을 크게 받은 20대 청년 여성 집단에서 최근 ‘시스템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공급업’ 종사자 수가 크게 증가한 점에 주목할 필요
- 해당 산업의 생태계와 일자리 특성을 보다 면밀하게 파악하는 것이 노동시장 회복 방안 수립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 판단
02. 통계포커스
■ ‘21년 초에 입직자수는 전년동월대비 증가 흐름을 보임
- 경제활동인구조사의 조사시기가 15일이 속한 주이므로 조사년월만을 입직의 기준으로 삼을 경우 월 후반의 입직자를 제외하는 문제가 발생하므로 입직년월이 조사년월과 일치하거나 그 전월인 근로자를 입직자로 정의
- 입직자 수 증가는 일자리 전환에 따른 것이 아니라 비경활인구와 실업자 감소에 따른 것으로 고용 상황 개선 흐름을 반영
- ‘21년 초의 입직자를 내부 집단별로 살펴 보면 임시 일자리, 단순노무 종사자 중심으로 증가했으며 최근 5월에는 증가세가 주춤한 모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