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1년 7호
고용동향브리프 2021년 7호
- 게시일
- 2021-09-03
- 조회수
- 1751
- 다운로드
- 1154
- 바로보기
- 11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본 연구는 최근 문제로 지적되는 40대 노동시장의 현황과 부문별 특징을 분석함
- 2019년 하반기 고용지표의 전반적인 개선에도 불구하고 40대의 고용지표는 지속적으로 하락하였으며, 2019년 6월 통계작성이래 최초로 40대 취업자수가 50대를 하회하는 현상이 발생함
- 40대 노동시장의 문제는 “취업자의 감소(경제활동인구의 감소)와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로 요약할 수 있음
■ 40대 노동시장 현황을 분석한 결과
- 첫째, 40대의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의 하락과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나타남
- 둘째, 비경제활동인구의 급격한 증가는 2019년 이후에 발생함
- 셋째, 2015년 이후 40대 노동시장에 구조적인 변화가 시작되었으며, 주된 변화는 2017년을 기점으로 발생하여 2018년 이후 더욱 심화되어 지금까지 이어져오는 것으로 보임
■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 2015년~2020년 자료를 이용하여 40대 노동시장의 부문별 특징을 성별·연령별, 취업자, 비경제활동인구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① 먼저 40대의 성별·연령별 노동시장의 특징은
- 첫째, 40대 취업자의 감소(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실업률)와 함께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나타나며,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의 감소는 여성이 남성에 비해 더 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는 남성에서 더 많이 발생함
- 둘째, 40대 초반보다 40대 후반에서 취업자의 감소와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남
② 그 다음으로 40대의 취업자 및 비경제활동인구 노동시장의 특징은
- 첫째, 학력별로는 고졸이하 저학력층의 비중이 감소하여 최근의 취업자 감소는 주로 저학력층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 것으로 보임
- 둘째, 종사상지위별로는 40대의 상용근로자가 크게 증가하고, 임시/일용직이 약간 감소하고, 고용원이 있는 자영업자의 감소가 두드러지게 나타나 이들 계층의 비경제활동인구로의 전환을 유추해볼 수 있음
- 셋째, 기업규모별로는 30인 이하의 소기업에서 취업자 감소가 크게 나타나, 소기업에 근로하는 근로자의 노동시장 이탈이 우려됨
- 넷째, 산업과 직종별로는 제조업, 건설업, 도매 및 소매업, 운수 및 창고업, 숙박 및 음식점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행정, 교육서비스업에서 취업자의 감소가 컸으며, 직종별로는 서비스종사자, 판매종사자, 기능원 및 관련 기능 종사자, 장치 기계 조작 및 조립종사자, 단순노무종사자의 감소가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남
- 다섯째, 임금근로자의 고용형태별로는 40대의 경우 임금근로자가 감소하며, 40대의 정규직 감소도 함께 나타난 것으로 보이며, 여성의 경우 비정규직도 감소하여 대체적으로 여성 임금근로자의 감소가 두드러진 현상으로 나타남
- 여섯째, 40대의 비경제활동인구 노동시장의 특징은 40대의 비경제활동인구는 주로 40대 후반에서 증가하였으며, 취업을 준비하거나 하기 보다는 쉬었음의 이유로 비경제활동인구에 머무르는 계층이 많은 것으로 추정할 수 있음
■ 본 연구는 40대의 취업자 감소와 비경제활동인구의 증가에 대한 동향을 분석한 결과로 추후 이에 대한 원인(경제활동인구의 감소원인, 취업자 결정요인 등)에 대한 후속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임
02. 통계포커스
■ 앞선 4개월간의 취업자 증가폭보다는 다소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전년도의 감소폭을 상회하며 7월 취업자는 2,764만 8천 명(+54만 2천 명) 기록
- 60세 이상 연령층(+36만 1천 명)에서 취업자 증가를 주도하였으며, 50대에서도 10만 9천 명 증가하며 중고령층 중심의 취업자 증가 지속
- 6월 증가로 전환된 40대는 7월에도 1만 1천 명 증가하며 2개월 연속 증가
- 3월 증가로 돌아선 청년층(15~29세)도 7월(+18만 4천 명) 증가가 이어지는 등 전반적인 노동시장 회복세에도 불구하고 30대(-12만 2천 명)만 유일하게 감소세를 거듭하며 17개월 연속 감소
■ 30대 취업자 감소의 주된 요인은 인구감소로 인한 것이나 고용률 변화 효과도 감소로 나타남
- 60세 이상 연령층을 제외한 전 연령대의 인구효과는 음수로 나타났으나 이를 상쇄할만한 고용률효과로 취업자 증가. 30대만 유일하게 고용률효과가 음수로 나타나며 취업자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