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1호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1호
- 게시일
- 2022-03-25
- 조회수
- 1053
- 다운로드
- 722
- 바로보기
- 14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노동시장 부업 참가율은 증가 추이를 보이며, 특히 2017년부터 최근까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고연령층, 고학력에서 부업 참가율이 높았으며, 최근 들어서는 전 연령 계층에서 참가율이 비약적으로 상승
- 주된 일자리가 임금근로자인 집단이 비임금근로자보다 부업 참가율이 높음
- 부업참여집단의 근로시간은 부업을 가지지 않는 집단에 비해 근로시간이 많은 것은 명백하지만, 양 집단의 주당 근로시간은 모두 감소하는 추이를 보임. 즉 부업참여 여부와 무관하게 주당 평균 근로시간은 감소하고 있음
■ 부업 참가율은 여전히 주된 일자리가 저임금인 집단이 높았으나, 전체 취업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과거에 비해 고임금 영역으로 확산하고 있음
- 최근 들어 부업 참여확률이 크게 높아졌으며, 2015년과 비교하면 2020년의 참여확률은 1.66배 높은 것으로 추정
- 앞으로 고용관계, 근무 형태 등 근로 제공방식이 다양화되고, 이러한 환경변화는 부업 참여 유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여 부업 규모는 지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
- 전문직 고소득 직종이 아닌 다수의 복수의 일자리는 개인의 소득 충당을 위한 공급측 요인이 작용하는 것이므로, 이들 사각지대 해소를 위한 고용 안전망 보완이 필요
02. 통계 포커스
■ 2021년 8월 기준 유연근무제를 활용하는 임금근로자는 353만 3천 명(+63만 5천 명)으로 전체 임금근로자의 16.8%를 차지(+2.6%p)
- 유연근무제 활용 비중은 2019년 10.8%로 처음 10%를 넘은 후 2020년 14.2%, 2021년 16.8%를 기록하며 점차 확대되어옴
- 유연근무제 활용 유형은 재택 및 원격 근무제(32.3%), 시차출퇴근제(29.9%), 탄력적 근무제(27.4%), 선택적 근무시간제(23.1%) 등의 순으로 나타나며 최근 2년간 구성에 변화가 발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