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3호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코로나19 확산의 충격으로부터 노동시장이 회복 국면에 들어선 202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정보통신업에서 취업자가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고용동향브리프

(서체깸)2022고용동향브리프2호-내지_1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3호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3호

게시일
2022-05-26
조회수
1132
다운로드
748
바로보기
18

목차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정보통신업 고용 추이와 현황 02. 통계 포커스 - 청년 잠재구직자 동향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코로나19 확산의 충격으로부터 노동시장이 회복 국면에 들어선 2021년 3월부터 현재까지 정보통신업에서 취업자가 높은 증가율을 보이며 증대 - 최근 정보통신업 취업자 증대는 기간제 일자리 증가에 의해 추동되었음 - 정보통신업 취업자가 크게 늘었던 3년 전과 비교하여 여성, 20대 취업자 증대가 더 두드러짐 ■ 임금 등 일자리의 질이 상대적으로 좋은 정보통신업에서 취업자가 늘며 다른 산업 일자리 평균과 차이가 줄어드는 경향 - 정보통신업 임금노동자의 시간당 임금은 2017년 전산업 평균 대비 133% 수준에서 2021년 130%로 근소하게 격차가 감소 - 2021년 들어 취업자가 현직장에서 12개월 미만 근속한 신규 입직자의 비중이 증가하였으며, 고용보험 가입률은 높아졌으나 스스로 평가하는 계속 근로 가능성은 낮아짐 ■ 정보통신업 내 일자리의 증대와 빈번한 입이직으로 인해 정보통신업에서 고용보험 가입자격 취득자와 상실자가 모두 추세적으로 증가하였으나 취득자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하며 가입자 증대 - 특히 정보통신업 내에서 고용보험 가입자격 취득자와 상실자 증대에 디지털 뉴딜 전략의 핵심 부문인 데이터 산업의 역할이 컸던 것으로 보임 - 정보통신업 중에서 데이터 산업의 비중이 높으므로 정보통신업 전체 상실자의 특성을 데이터 산업에서 상실자 특성이 대표 - 1년 내 일자리 상실자 중 계약기간 만료에 의한 상실 비중이 높아졌고, 1년 이상 근속 후 상실한 경우에 전직에 의한 상실 비중이 증가 ■ 현재까지 정부 정책과 지원으로 데이터 산업을 비롯한 정보통신업이 성장하고 이에 따라 취업자도 계속 증가 - 신규 생성된 일자리에서 고용보험 가입률이 상승한 점 등이 긍정적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음 - 기업의 입장에서 정부의 지원 정책 또는 프로젝트의 지속 여부에 약간의 불확실성이 있다면 지금은 필요한 고용이 추후 가져올 부담을 최소화하고자 할 것이므로, 기간제 중심으로 일자리가 증대되었을 가능성이 있음 - 정보통신업 일자리의 장기적 안정성을 위해, 현재 임시·기간제 중심으로 고용하는 기업이 안정적인 고용으로 전환하는 데 유인을 제공하는 지원 정책 또는 기준 마련할 필요가 있음 - 또한 정보통신업에서 일 경험을 가진 취업자들이 장기적으로 정보통신업 내 커리어를 유지하고 계발하는 연계 서비스의 제공과 홍보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음 02. 통계 포커스 ■ 최근 청년층(만 15-29세)의 고용보조지표3(실업자와 함께 ①구직활동을 하지 않았지만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을 희망하고 가능했던 잠재구직자, ②구직활동을 하였으나 조사대상주간에 취업이 불가능했던 잠재취업가능자, ③단시간 취업자 중 추가 취업이 가능하고 희망했던 시간관련 추가취업가능자를 추가로 고려)과 실업률이 크게 감소 - 2022년 3월 청년층(만 15-29세) 고용보조지표3의 감소폭은 5.4%p로 중년층(만 30-54세)과 장년층(만 55세 이상)의 감소폭 2.5%p, 2.2%p 보다 훨씬 큼 - 실업률 감소폭 역시 청년층은 2.9%p, 중년층과 장년층은 각각 1.0%p, 0.9%p로 청년층이 더 크게 하락 ■ 최근 청년 고용보조지표3의 감소는 잠재구직자가 주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 청년 잠재구직자는 2021년 3월 이후 13개월 연속으로 하락 중이며 2021년 11월 이후로는 100천 명 이상의 감소폭을 기록 ■ 최근의 잠재구직자 감소는 구직단념자를 중심으로 발생 - 최근 청년 채용시장이 회복 국면에 접어들며 구직단념자 역시 감소 흐름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