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4호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에도 비대면 서비스업인 운수 및 창고업은 지속적 고용 증가를 이어옴 - 코로나19 사태는 비대면 전자상거래 및…

고용동향브리프

(서체깸)2022고용동향브리프-4호_1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4호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4호

게시일
2022-06-17
조회수
1081
다운로드
689
바로보기
11

목차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운수 및 창고업 고용 동향 02. 통계 포커스 - 대면·비대면서비스업 취업자 동향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에도 비대면 서비스업인 운수 및 창고업은 지속적 고용 증가를 이어옴 - 코로나19 사태는 비대면 전자상거래 및 물류 운송 분야 성장을 더욱 촉발시키며 고용증가에 기인, 한편으로는 여객 운송 관련 업종의 고용은 큰 타격 - 최근의 운수 및 창고업 취업자 증가는 화물 운송업과 보관창고업에서 주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주도 업종에 다소 변화 - 상대적 고연령대 산업으로 60세 이상 취업자 증가는 지속되는 한편, 20~30대 연령층 증가가 두드러지며 평균 연령이 감소 ■ 운수창고업 취업자 증가는 해당 업종 성장에 따라 다양한 관련 분야에서 노동수요가 파생된 데에 기인 - 이커머스 시장의 급속한 성장으로 택배, 화물 운송 관련 고용 증가(소화물 전문/화물 운송업), 식재료 관련 물류 증가에 따라 유통에 필요한 물류창고 공급 및 운영 관련 고용 증가(보관창고업), 그 외 물류터미널 운영, 통관대리 관련 서비스(기타 운송관련 서비스업) 등 역시 고용 증가 - 소규모 사업체 비중이 큰 산업이지만 최근 300인 이상 대규모 사업체의 물류터미널, 화물서비스 분야 성장도 고용 증가에 기여 ■ 그러나 여객 운송 관련 취업자는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로 특히 항공 관련 운송업 고용 상황은 여전히 어려움 ■ 또한 최근의 운수창고업 취업자 증가에는 30대 이하 연령대의 택배, 배달업 취업이 미치는 영향이 적지 않음 - 30대 이하 연령층의 운수창고업 취업자 증가는 택배, 배달업 등 소화물 전문 운송업에 집중, 이 중에서도 일용직과 1인 자영업 형태의 비중이 커지는 추세 - 청년층의 비대면, 단기 일자리 선호 성향에 부합되고 상대적 중저숙련 일자리가 많은 진입 용이 산업으로 인식되어 유입 증가 - 전반적 청년층 취업상황이 개선되지 않을 경우 이러한 단기 일자리가 장기 일자리화될 가능성이 커 향후 지속적 모니터링 필요 ■ 산업구조 변화와 주도 성장 산업의 재편은 진행 중이며 해당 산업 특성상 특정 고용형태 혹은 연령대의 취업자 증가가 불가피한 추세라면 이들의 고용안정망 확충, 산업재해 방지 방안 마련 등 필요 02. 통계 포커스 ■ 최근 서비스업 내에서 대면서비스업과 비대면서비스업 간의 고용격차가 조금씩 벌어지고 있는 모습 - 2022년 1분기 기준 대면서비스업 취업자 증가율이 0.9%에 그친 것에 반해 비대면서비스업은 8.8%로 높은 수준 - 고용시장이 지속해서 경직되고 있는 대면서비스업과 달리 비대면서비스업은 코로나19 상황 속에서도 취업자 규모 확대 - 이는 코로나19 특수로 인한 생활물류 관련 구인 수요 증가, 디지털 일자리 확대 등에 기인한 것으로 보임 ■ 시간 관련 추가 취업자 가능자로 살펴보아도 대면서비스업과 비대면서비스업의 고용상황은 다소 대조적 - 대면서비스업이 다른 서비스업 대비 취업자 규모가 크지만 전체 서비스업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줄어드는 추세 ■ 전체 취업자 대비 상용직 비중은 비대면서비스업에 비해 대면서비스업이 낮은 수준 - 비대면서비스업 상용직은 2021년 2분기에 증가 전환하였으나 대면서비스업 상용직은 2021년 4분기에 들어선 후에야 증가 전환하며 더디게 회복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