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동향브리프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5호
고용동향브리프 2022년 5호
- 게시일
- 2022-07-13
- 조회수
- 1199
- 다운로드
- 706
- 바로보기
- 10
요약
01. 주요 고용이슈 심층분석
■ 코로나19 시기에 핵가족의 배우자 고용률이 크게 하락했으며, 2022년 1분기 기준으로 볼 때 완전한 회복을 이루지 못함
- 특히 19세 미만 자녀가 있는 가구의 경우 배우자 고용률이 더 크게 하락
- 배우자 고용률 감소에 따라 핵가족의 맞벌이 비율 역시 하락했으며, 가구주 취업소득이 가구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상승
■ 코로나19 이전에 비해 핵가족 간 취업소득 불평등이 심화
- 가구 내 비중이 큰 가구주 취업소득 불평등이 커진 데 따른 결과
- 가구주 상층의 취업소득이 여타 계층보다 더 크게 증가하며 가구주 취업소득의 지니계수가 상승
■ 코로나19 시기의 고용률 하락은 이전에 없던 새로운 현상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기존의 문제들이 더욱 심화된 것에 기인
- 취약계층 저변을 포괄할 수 있는 고용안정망 확충, 가사를 병행할 수 있는 근로문화 혁신 등이 요구됨
02. 통계 포커스
■ 2022년 5월 15세 이상 전체 취업자는 2,848만 5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93만 5천명(3.4%)증가하였고, 고용률은 63%로 전년동월대비 1.8%p 상승하였음
- 취업자의 변화를 성별로 나누어 살펴보면, 남성은 1,611만 3천명으로 전년동월대비 46만 8천명(3.0%)증가하였고, 여성은 1,237만 2천명으로 46만 7천명(3.9%) 증가하여, 여성 취업자의 증가폭이 더 크게 확대됨
■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및 고용률이 증가하면서 여성 경제활동인구와 취업자 증가폭은 확대되었고,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함
- 또한 15~29세 청년층과 55세 이상 고령층 및 대졸 이상 고학력층의 여성 취업자 증가가 두드러짐
■ 여성 임금근로자를 중심으로 취업자 증가가 나타남
- 여성 취업자는 주로 상용직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전년동월대비 7.2% 증가를 기록함
- 취업시간 36시간 미만의 여성 근로자는 감소세가 이어짐
■ 여성취업자의 산업별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숙박 및 음식점업,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농업, 임업 및 어업 등에서 취업자 증가가 나타남
- 여성취업자의 직업별 취업자 증감을 살펴보면, 전문가 및 관련종사자, 사무종사자, 서비스종사자 등에서 취업자 증가가 두드러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