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졸자의 첫 일자리 진입 특징

■ 2020년 5월 기준 취업 유경험 대졸자 규모(1,426천명)는 전년동월대비 4.1% 감소,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7.2개월)은 0.7개월 단축 - 청년층(15~29세) 고용보험 취득 …

고용동향브리프

페이지 범위 (_서체깸)2020고용동향브리프-9호내지-2
고용동향브리프 2020년 9호

대졸자의 첫 일자리 진입 특징

고용동향브리프 2020년 9호

대졸자의 첫 일자리 진입 특징

저자
남예지
게시일
2020-12-28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조회수
406
다운로드
597
바로보기
6
키워드

목차

■ 2020년 5월 기준 취업 유경험 대졸자 규모(1,426천명)는 전년동월대비 4.1% 감소,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7.2개월)은 0.7개월 단축 - 청년층(15~29세) 고용보험 취득 및 신규취득자 규모 축소와 비경제활동인구 확대 등을 함께 고려했을 때,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 단축은 취업 유경험 대졸자 규모가 축소된 것에 의한 효과로 해석됨 ■ 이와 더불어 졸업·중퇴 직후 첫 취업한 대졸자의 취업 소요기간이 늘어났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전체 대졸자의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 감소를 이들의 노동시장 진입장벽이 낮아진 것으로 연결시키기 어려움 - 졸업·중퇴 직후 첫 취업한 대졸자는 감소세인 반면 졸업 후 일정의 미취업기간을 가지는 대졸자는 증가세 - 또한 최근 3년간 상용직 취업 유경험 대졸자 규모는 줄어드는 양상이나 임시 및 일용직은 늘어나는 모습 - 졸업시점별로는 졸업·중퇴한 해 이후에 첫 취업한 대졸자와 종사상지위별로는 첫 일자리가 상용직인 대졸자의 경우에 평균 노동시장 진입 소요기간이 단축되었으나, 이는 해당 경우의 절대 규모가 함께 감소한 것의 효과일 가능성 ■ 인구 고령화, 코로나19 발생 및 확산 등으로 인해 구인 수요가 증가한 산업과 관련이 깊은 교육계열 중심으로 평균 첫 취업 소요기간이 감소하거나 짧게 나타났으며, 취업 유경험자 규모에 있어서도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폭을 시현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