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과 직업 연구(제6권 제1호)

먼저, 졸업을 전후한 대졸자는 주된 구직방법으로 공식적 방법에 의존하여 일자리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자가 첫 일자리를 획득한 취업경로는 공식…

고용과 직업연구(구)

고용과 직업 연구 제6권 제1호, 한국고용정보원

고용과 직업 연구(제6권 제1호)

고용과 직업 연구(제6권 제1호)

저자
한국고용정보원
게시일
2012-06-11
주제대상
고용서비스,공통
조회수
19809
다운로드
1100
바로보기
76
키워드

목차

고용과 직업 연구 제6권 제1호(2012. 5) -대졸자의 구직방법과 취업성과 (박진희) -정책금융의 고용대응성에 대한 소고: 신용보증 패널분석을 중심으로 (노용환) -DEA를 이용한 고용센터 효율성 측정 (오성욱, 양지윤) -특성화고 졸업자의 취업의 질적 성과 결정요인 연구 (이만기)

요약

먼저, 졸업을 전후한 대졸자는 주된 구직방법으로 공식적 방법에 의존하여 일자리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졸자가 첫 일자리를 획득한 취업경로는 공식적 방법을 활용하여 취업한 경우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비공식방법에 의해 취업에 성공하고 있다. 다만, 주 목할 만 한 특징은 대학졸업당시의 연령에 따라 취업성공 구직방법이 차이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