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과 직업 연구(제2권 제1호)

첫째, 2005년 노조 조직률 11.4%는 197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이다. 그러나 이처럼 낮은 조직률은 노동자들의 노조수요가 낮아서가 아니라, 기업 정규직 심의 기업별 노사계…

고용과 직업연구(구)

고용과_직업_연구(제2권_제1호)

고용과 직업 연구(제2권 제1호)

고용과 직업 연구(제2권 제1호)

저자
한국고용정보원
게시일
2008-07-21
주제대상
고용서비스,공통
조회수
15450
다운로드
1463
바로보기
112
키워드

목차

구직자의 고용서비스유형별 고용서비스품질과 취업성과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오성욱) 노조수요 추정과 노조가입의사 결정요인(김유선) 진로지도 프로그램(CDP-H)이 전문계 고교생의 진로발달에 미치는 효과(어윤경) 조건부수급자 중 취업대상자 선별지표 개발 연구(김한준․노경란․박가열․고재성) 워크넷과 고용지원센터의 브랜드 통합 타당성 연구(정경희․김진한․김형래) 한국 성인취업자의 자기평가 직업윤리 수준과 영향 요인(장홍근) 독일 복지국가의 신자유주의적 고용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이승협)

요약

첫째, 2005년 노조 조직률 11.4%는 1970년 이래 가장 낮은 수이다. 그러나 이처럼 낮은 조직률은 노동자들의 노조수요가 낮아서가 아니라, 기업 정규직 심의 기업별 노사계에서 노조가입 가능성 (노조공)이 제한되고 있기 때문이다. 둘째, 불만가설, 효용가설, 이념가설의 변수인 태도 (가치)가 노조수요에 미치는 향력은 크지만 , 노조가입에 미치는 향력은 작다 . 이에 비해 노조유무 등 노조가입 가능성(노조공)은 노조가입의사(노조수요)에 미치는 향력은 작지 만, 노조가입을 좌우하는 규정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저자의 다른 보고서

의 다른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연관 보고서

의 연관 보고서,
검색조건 입력
게시판명 목록이며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조회수, 첨부파일 정보 제공
번호 구분 보고서명 게시일 저자 다운로드수 첨부파일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