닫기 국가고용정보시스템 업무구조도 확대 이미지
주요사업
국가고용정보시스템
연구성과
열린경영
알림마당
기관소개
닫기
메뉴 닫기

한국고용정보원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로고

이 웹사이트는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웹사이트 입니다.

한국고용정보원

닫기
통합검색 영역

전체메뉴

검색단어

검색대상

기간별

-

연구성과

일과 사람을 이어주는 선도기관,
한국고용정보원의 사업을 소개합니다.

다양한 일자리 정책을 통해 좋은 일자리 창출을 지원합니다.

고용이슈

이슈분석 2 표지.png
[격월간]2017년 3월호 고용이슈(제10권 제2호)
2.이슈분석2_대졸자 노동시장 초기경험과 중.장기 고용성과
PDF 다운받기
디지털 노동자의 계층화와 노동시장 이행 정보 테이블
저자 최기성 조회수 266
게시일 2017년 04월 27일 다운로드 867회
주제/대상 고용정보분석/공통 키워드 대졸자 미취업비율 취업비율 노동시장
목차

Ⅰ. 연구목적

Ⅱ. 이론 및 선행연구

Ⅲ. 분석 자료 및 변수 설정

Ⅳ. 분석 결과

Ⅴ. 요약 및 제언

요약

본 연구는 대졸자의 노동시장 초기(18개월 이내) 경험(적정 취업, 하향 취업, 미취업)이 졸업 후 7-10년이 경과한 중⦁장기 시점 고용성과(취업, 적정취업, 임금)와 어떤 관련성을 갖는가를 분석한 것으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졸업 후 초기(18개월 이내)에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체 대졸자 중 취업자와 적정 취업 비율은 증가하지만, 이러한 결과는 대졸자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이어서, 중ㆍ장기 시점에서의 하향 취업 및 미취업 비율을 살펴보면, 장기 시점(졸업 후 7~10년)에서 미취업 비율은 13.5%로 중기(졸업 후 3~4년) 시점에서의 미취업 비율(15.4%)과 큰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지만, 취업자 중 하향 취업의 비율은 장기 시점에서 12.8%로 중기 시점(17.8%)보다 5%p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나, 졸업 후 상당한 기간까지 적정 취업을 위한 노력이 이뤄지고 있었다.
한편, 노동시장 초기 하향 취업과 미취업 간의 중ㆍ장기 시점에서의 미취업 비율은 큰 차이가 없는 반면, 하향 취업 비율은 초기 하향 취업 경험집단이 미취업 경험집단 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하향 취업의 지속성(Persistence)이 졸업 후 상당한 기간까지 지속됨을 확인 해줄 뿐만 아니라 구직 기간이 늘어나더라도 적정 취업에 성공할 때까지 구직 기간을 늘리는 대졸자의 행동에 대한 합리성을 일부 뒷받침하는 것이다.

최기성의 다른보고서
다른 보고서 보기 표로 순서,구분,보고서명,저자,발행일,다운로드수,다운로드를 안내합니다.
순서 구분 보고서명 저자 발행일 다운로드수 다운로드
23 직업진로정보서 박가열 외 14 명 2021-06-11 12843
22 연구사업보고서 최기성 외 1 명 2021-04-08 3045
21 연구사업보고서 김중진 외 4 명 2020-06-12 2217
20 연구사업보고서 김동규 외 1 명 2020-05-08 1881
19 직업진로정보서 김동규 외 5 명 2020-05-06 8749
연관 보고서 (고용정보분석)
연관 보고서 보기 표로 순서,구분,보고서명,저자,발행일,다운로드수,다운로드를 안내합니다.
순서 구분 보고서명 저자 게시일 다운로드수 다운로드
1107 연구사업보고서 김두순 외 6 명 2024-09-30 101
1106 연구사업보고서 김경희 외 4 명 2024-09-27 65
1105 연구사업보고서 김경희 외 3 명 2024-09-04 101
1104 고용동향브리프 윤정혜 2024-09-03 43
1103 고용동향브리프 윤정혜 2024-09-03 142